학과개요
30년후 미래 도시가 어떻게 변할지 상상해 본 적 있나요? 미래 도시는 사물인터넷과 사이버 물리시스템, 빅데이터, 5G인터넷 등 최신IT 기술을 기반으로한 스마트 도시,와 지하도시, 해저도시, 해상도시, 우주도시 등 다양한 형태와 모습으로 변해갈 것입니다. 도시공학과는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배우게 됩니다. 도시공학을 통해 복잡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 도시를 계획?설계?건설하고 관리하는 데 필요한 역량과 지식을 갖춘 도시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학과특성
전 세계 인구의 50%, 우리나라 인구의 91.8%는 도시에 살고 있습니다. 도시공학과는 새로운 도시를 계획하고 만들거나 기존 도시의 특정한 지역에 집중된 인구를 여러 지역으로 나누는 일을 합니다. 최근에는 최신IT기술과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스마트 횡단보도, 인공지능 기반 CCTV 서비스,. 개인 이동수단 스마트 보관소등 도시에 IT기술을 활용한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흥미와 적성
평소 도시의 기능이나 역할에 관심이 많고, IT분야< 토목, 건축, 기계와 관련된 분야에 관심이 있는 경우 유리합니다. 그리고 법, 행정, 사회, 경제와 같은 사회 과목에도 흥미가 있으면 좋습니다. 도시공학은 사람들이 생활하는 도시를 계획하고 설계하는 일을 하므로 공간 지각 능력이 필요하며,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분야에 대한 관심과 창의력을 가지고 도시 공간을 생각 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합니다.
관련학과 고교 교과목
공통과목
일반선택과목
전문교과Ⅰ
전문교과Ⅱ
진로선택과목
진로 탐색 활동
대학 주요 교과목
공통과목
일반선택과목
전문교과Ⅰ
전문교과Ⅱ
진로선택과목
관련 자격
감정평가사
건설안전기사
건설안전기술사
건축기사
건축기술사
교통기사
교통기술사
도시계획기사
도시계획기술사
토목기사
졸업 후 진출 분야
기업 및 산업체
도시 및 지역 계획/국토 계획/교통 관련 건설 회사, 설계 회사, 엔지니어링 회사, 도시 공학 관련 컨설팅 회사
정부 및 공공기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등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기술직(건축, 일반 토목,) 공무원,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한국토지주택공사,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새만금개발공사 등 공공기관
학계 및 연구기관
국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등 연구기관 및 각종 민간 도시 공학 관련 연구소
세부관련학과
건설·도시공학부 도시공학전공,건설융합학부 도시공학전공,건설환경도시공학부,건축도시토목공학부,그린스마트시티학과,도시・환경・화학공학과,도시·교통공학전공,도시·조경학부,도시건설공학과,도시건설공학전공,도시계획공학과,도시공학과,도시공학전공,도시디자인정보공학과,도시인프라공학과,도시정보공학과,도시정보공학전공,도시환경공학과,도시환경공학부,도시환경바이오공학부,디지털건축도시공학과,디지털도시건설학과,물류・환경・도시인프라공학부,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사회인프라공학과,스마트건설・환경공학부,스마트도시학부,스마트시티공학과,스마트시티공학부,스마트시티공학전공,스마트시티융합학과,스마트시티전공,스마트시티학과,융합전공학부 도시공학-국제도시개발학 전공,융합전공학부 도시공학-도시부동산기획경영학 전공,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토목도시환경공학부